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
- ucfirst
- 파이썬실행시간측정
- AIHub
- 제로베이스데이터사이언스
- raise python
- 감시직근로자
- numpyboolean
- 내장함수날코딩
- python decolator
- 파이썬
- vgg
- 빅데이터활용공모전
- numpy기본개념
- 제로베이스
- 넘파이인덱스
- yolov4
- 데이터사이언스스쿨
- 파이썬 비밀번호입력
- 넘파이슬라이싱
- SequentialSearch
- 인공지능공모전
- timer python
- python내장함수
- 문장고치기python
- zerobase
- 제로베이스데이터사이언스과정
- 이미지데이터라벨링
- 구구단python
- 단속적근로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3)
개발자에서 전직중🔥

23년도 1월 퇴사자의 건강보험 상실이 되어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24년 12월,,,)비율로 공제하는 사업장은 고지 확인을 안하다 보니 취득,상실 시 오류가 떠도 늦게 알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내가 입사하기 1년 반 전의 일이 여태 확인 되지 않았다니... 이전 담당자들이 많이 바빴나보다. 고용 EDI 에서 상실 접수를 했는지 확인 했는데 접수는 했고 오류가 떠있었다.문제는 반려된 사유가 소속 사업장이 다르다는 것..? 그래서 건강 EDI로 들어가 고지를 확인해보았는데, 해당 사업장 고지에 해당 근로자가 잘 나와있었다. 어지러운 상황일 때는 공단에 전화해보기 부서안내/연락처 www.nhis.or.kr↑↑↑ 여기서 사업장이 소속된 지역의 지사로 전화를 해야한다. 해..
가끔 받는 질문이 있다.근로자가 어디서 들었는데 65세 이상도 실업급여를 받았다며 본인도 해줄수있냐고 물었다는 문의. 만 65세 이상도 계속근로자면 실업급여 대상자가 될 수 있다.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고용보험에 대한 이해와 계속근로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고용보험고용보험은 두 가지로 나뉜다. 1. 실업급여2.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고안직능) 우리는 그냥 고용보험료를 낸다고 생각하지만, 자세히 나눠보면 다음과 같다.----> 실업급여(근로자 50%) + 실업급여(사업주 50%) + 고안직능(사업주 100%) 고용보험의무가입 및 보험료 발생 여부실업급여 수급가능여부최초 가입 시 연령 구분근로자사업주실업급여 만 65세 이후XXX 만 65세 미만으로 가입 유지 (계속 근로자)OOO고안직능연령 상관 ..

1. 고용산재 EDI 접속민원접수/신고 탭 >> 보험가입신고 >> 일괄적용사업개시신고(10105) 클릭 ---> 여기서 신고 접수한다. 2. 일괄적용 사업장관리번호에 "6"으로 끝나는 관리번호 입력 ( 보통 관리번호는 0으로 끝나지만 일괄적용사업장은 6으로 끝난다. ) 입력하고 나면 상호, 소재지 등 나머지 정보는 자동 기입된다. 3. 공사(현장)내역 정보를 기입해야 하는데, 나라장터에서 다운받은 공사계약서에 있는 내용을 정확히 기입해주면 된다. - 공사형태 : 건설공사 --> 벌목업이면 벌목업 - 공사명 : 나라장터 계약서와 동일하게 - 공사기간 : 계약서에 있는 착공일자 ~ 준공일자 - 공사금액 : 부가세 제외한 금액을 넣어야 한다! 계약서에 합친 금액으로 나와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때..